이용만·김선웅(2006) | 모형설정오류검정 | • 강남 주택가격에 거품이 없어 잘못된 인식임을 증명• 강남을 진원지로 삼은 부동산가격 정책방향 수정 필요 | 없음 |
이준희(2006) | 일반균형자산가격모형 공적분검정 | • 전국 아파트가격이 장기 균형가를 8% 상회한 거품 발생• 주택가격과 임대소득간에 공적분 관계가 미존재 | 있음 |
박희석(2009) | 공간상태모형 칼만필터기법 | • 서울 아파트가격 대비 합리적 거품비율은 9.1%~17.6% 형성• ’08년 금융위기 후 부동산부양책에 기인해 거품비율 상승 | 있음 |
박헌수·이창원(2012) | 공간상태모형 칼만필터기법 | • 수도권 아파트가격은 20% 이상 합리적 거품존재• 참여정부 시절 비수도권 버블이 크게 하락한 정책효과 | 있음 |
박원암(2016) | 벡터자기회귀모형 공적분검정 | • ’00년대 강남 주택가격 폭등은 비발산적 형태를 보임• 시장근본가치와 무관한 거품이나, 크기는 측정 불가 | 있음 |
조무상·남주하(2019) | 정보착오모형 생존분석 | • 모든 지역에서 분석기간 내 폭발적 거품은 관측되지 않음• 주택가격은 안정적 거품 유지, 괴리는 시간흐름에 따라 소멸 | 없음 |
박원양·제상영(2020) | Rolling 회귀분석 | • 수도권 주택매매, 전세가격 거품은 ’00~’10년대 많이 생성• 정부 규제 강약에 따라 거품이 생성·소멸되지 않음 | 있음 |
이인로(2021) | PSY 검정 | • ’20년 중 전국, 서울, 세종에서 발산성이 수차례 나타남• 과거 주택가격 급등시기보다 통계적 유의성 높은 수치 | 있음 |
김순용(2022) | GSADF 검정 프로빗모형 | • 전 지역 2개월 이상 거품 지속으로 서울이 최장기• 주택매매가격 증가, 금리하락은 거품 발현확률 상승 | 있음 |
윤원철(2022) | PSY 검정 | • 5개 지역 모두 부분적으로 거품이 존재하나, 기간 차이• 생산자물가지수, 이자율이 아파트가격 거품발생에 영향 | 있음 |
홍정의 외(2022) | 2단계회귀식 | • 미국 대비 서울 주택가격 변화율과 추정치 격차가 미미• 서울 주택가격 상승은 근본가치의 실질적 변화요인에 기인 | 없음 |
김건호 외(2022) | 상태공간모형 최소자승법 | • 근래 수도권 주택가격 거품은 가장 심각해 하락 여지• 거품비율의 상대적 크기는 매매가 대비 10%~30% 수준 | 있음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