표 2 주거용 토지가격 모형 결과
변수 | 계수 | p>|Z| | VIF |
Fixed effects | | | |
상업 젠트리피케이션 특성 | | | |
인근 지수 | 0.0004 | 0.23 | 8.16 |
인근 지수 변이계수 | -0.162 | 0.00 | 6.91 |
집계구 평균 지수 | -0.002 | 0.00 | 8.28 |
집계구 평균 지수 변이계수 | 0.652 | 0.00 | 7.01 |
개발 밀도 | | | |
Log(부동산 개발 밀도) | 0.042 | 0.00 | 2.80 |
토지이용 혼합 | | | |
토지이용 혼합도 | -0.056 | 0.09 | 6.77 |
주거-비주거 토지 균형도 | -0.021 | 0.22 | 3.44 |
토지이용 구성비율 | | | |
주거비율 | 0.050 | 0.04 | 5.91 |
상업비율 | 0.129 | 0.00 | 2.61 |
사무비율 | 0.250 | 0.00 | 1.83 |
공업비율 | -0.388 | 0.00 | 1.14 |
개별 토지 특성 | | | |
단독주택 | -0.041 | 0.00 | 2.00 |
연립주택 | 0.043 | 0.00 | 1.10 |
아파트 | 0.174 | 0.00 | 1.94 |
주상복합 | 0.216 | 0.00 | 1.97 |
Log(면적) | 0.00001 | 0.00 | 1.91 |
교통입지 특성 | | | |
Log(도심 접근성) | -0.035 | 0.00 | 1.41 |
Log(부도심 접근성) | -0.047 | 0.00 | 1.42 |
Log(도로 접근성) | 0.073 | 0.00 | 1.55 |
Log(지하철역 접근성) | -0.066 | 0.00 | 1.18 |
Log(버스 정류장 접근성) | -0.023 | 0.00 | 1.07 |
Log(상권 접근성) | -0.008 | 0.00 | 1.09 |
Log(한강 접근성) | -0.199 | 0.00 | 1.15 |
인구와 고용밀도 | | | |
Log(인구밀도) | -0.025 | 0.00 | 3.48 |
Log(고용밀도) | 0.054 | 0.00 | 3.25 |
상수 | 17.595 | 0.00 | |
Random effects | |
ICC | 0.78 |
결정계수 | |
집계구 내 | 0.50 |
집계구 간 | 0.56 |
전체 | 0.57 |
사례 수 | 18,057 |
집계구 수 | 7,887 |
주 : VIF, variance inflation factor; ICC, intraclass correlation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