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가명 | 시행 현황 | 비고 |
미국 | • 위스콘신주 Wisconsin’s Cooperative Education Skill Standards Certificate Program숙련된 근로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이 마련되며, 학생들의 직업 선택시 참고자료로 활용• 워싱톤주 Skill Standards in Washington State School-to-work Opportunities Act산업계와 교육계 간 협력촉진의 근거이며, 이에 기초하여 직무능력표준 개발• 일리노이주 LOSS(Illinois Occupational Skill Standards)다양한 직종의 직무 수행과 자격 증명을 위한 기준으로 활용 | - |
독일 | • NOS(National Occupation Standards)산업현장의 지식 및 기술에 기반한 교육훈련과정 개발과 운영의 기준으로 활용• NQF(National Qualifications Framework)NOS에 기반한 국가자격체계로 EQF와 연동을 위해 연구 중 | - |
일본 | • VASS(Vocational Ability Assessment Standards)기관과 산업단체가 협력하여 사무분야의 직업능력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마련해 활용• NSS(National Skill Standards)in IT미국을 벤치마킹하여 IT 분야 전문인력의 직무능력표준으로 활용 | - |
호주 | • NCS(National Competency Standards)특정 산업현장에서 근로자가 갖추어야 할 능력을 체계화한 것으로 교육훈련과정(Training package)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• AQF(Austrailian Qualification Framework)학교, 직업훈련기관, 고등교육 분야의 단일화된 국가자격체계로 근로자의 평생학습 촉진과 다양한 경력 경로 개발에 기여 | - |
영국 | • NOS(National Occupational Standards)직무수행에 필요한 사항을 구체화시켜 놓은 것으로, 중등교육 이후 직업능력개발을 위해 활용• QCF(Qualification and Credit Framework)직업자격 및 교육자격의 연계와 다양한 학습경험을 자격으로 인정하는 틀로 활용 | - |
남아프리카 공화국 | • NQF(National Qualifications Framework)교육자격과 직업자격을 연계하는 자격체계로 직무능력표준(Skill Standards)과 교육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본 틀로 활용 | -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