표 2 요인별 문항 구성 및 신뢰도
구분 | | 요인적재량 | 신뢰도 |
주택 변수 | 주택 노후 | 누수(급수관, 배수관 등) | 0.634 | Cronbach’α=0.855 |
방음 | 0.517 |
창호 상태(개폐, 뒤틀림, 변색 등) | 0.696 |
균열(외벽, 발코니 등) | 0.737 |
실내 마감재 및 시공 상태 | 0.757 |
난방설비 및 방풍 | 0.741 |
전기 및 설비 상태(변기, 욕조 등) | 0.686 |
주택 구조 | 주택 규모 | 0.635 | Cronbach’α=0.838 |
방의 개수 | 0.813 |
방의 크기 | 0.894 |
각 실의 배치(평면구조) | 0.712 |
외부 관리 | 시설물 등의 관리 상태(청소, 정비 등) | 0.673 | Cronbach’α=0.795 |
쓰레기 수거 상태 | 0.993 |
유지관리 | 하자 보수 등의 사후 서비스 | 0.770 | Cronbach’α=0.881 |
불만/요구 사항 처리(완료) 속도 | 0.796 |
수선 작업의 질(완성도) | 0.828 |
범죄/폭력 등에 대한 치안 및 방범상태 | 0.842 |
주거환경 변수 | 근린시설 | 교육 시설 접근성(학교, 학원 등) | 0.687 | Cronbach’α=0.857 |
문화시설 접근성(극장, 도서관 등) | 0.891 |
의료시설 접근성(약국, 병원 등) | 0.868 |
복지서설 접근성(노인정, 복지관 등) | 0.642 |
사회관계 | 이웃과의 친밀도(교제 정도) | 0.993 | Cronbach’α=0.920 |
이웃과의 교류 공간 | 0.86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