표 6 비수도권 한계효과 분석결과
| 비수도권 |
투자선호집단 | 소비선호집단 |
Model 1 | Model 2 | Model 1 | Model 2 |
관찰소득 | 0.093*** (0.021) | | 0.108*** (0.008) | |
항상소득 | | 0.109*** (0.035) | | 0.128*** (0.013) |
임시소득 | | 0.089*** (0.022) | | 0.101*** (0.009) |
가구주 성별 | 0.043* (0.025) | 0.038 (0.026) | 0.044*** (0.009) | 0.037*** (0.011) |
가구원 수 | 0.077*** (0.008) | 0.075*** (0.009) | 0.066*** (0.003) | 0.064*** (0.003) |
나이 | 0.315*** (0.027) | 0.324*** (0.031) | 0.361*** (0.010) | 0.372*** (0.012) |
임시근로자 | -0.148*** (0.028) | -0.147*** (0.028) | -0.154*** (0.010) | -0.153*** (0.010) |
고용형태 | -0.104*** (0.020) | -0.106*** (0.020) | -0.125*** (0.008) | -0.127*** (0.008) |
관측치 | 2,328 | 2,328 | 16,605 | 16,605 |
R-square | 0.135 | 0.135 | 0.120 | 0.120 |
주 : 1) p<0.1,
p<0.05,
p<0.01.
소비선호와 투자선호는 주거실태조사상의 주택구매목적을 이용한 대리변수이며, 소비선호는 “주거안정 차원에서” 항목을 기준으로 분류하고, 투자선호는 “자산증식을 위해”, “노후생활자금으로 활용 가능하므로” 항목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