표 6 노인가구의 주거이동 계획 및 주거이동 계획 지역 결정요인에 대한 이변량 프로빗 분석 결과
변수 | 노인가구의 주거이동 의사(N=24,153) | 노인가구의 주거이동 계획 지역(N=689) |
Coef. | Std.Err. | z | P>|z| | Coef. | Std.Err. | z | P>|z| |
인구사회학적특성 | 가구주 연령 | | |
중고령 노인 | -0.172*** | 0.042 | -4.07 | 0.000 | -0.251** | 0.117 | -2.16 | 0.031 |
고령 노인 | -0.343*** | 0.054 | -6.35 | 0.000 | -0.446*** | 0.166 | -2.68 | 0.007 |
가구주 성별 | 0.012 | 0.045 | 0.27 | 0.787 | 0.105 | 0.127 | 0.82 | 0.409 |
가구주 학력 | 0.101* | 0.051 | 1.96 | 0.051 | 0.013 | 0.125 | 0.10 | 0.917 |
가구주 은퇴여부 | 0.020 | 0.046 | 0.44 | 0.662 | 0.264** | 0.116 | 2.27 | 0.023 |
가구원 수 | 0.048** | 0.019 | 2.50 | 0.013 | -0.082 | 0.057 | -1.45 | 0.148 |
주거환경특성 | 주택 유형 | 0.104*** | 0.038 | 2.77 | 0.006 | 0.166 | 0.101 | 1.64 | 0.101 |
주택 점유형태 | -0.627*** | 0.041 | -15.34 | 0.000 | -0.580*** | 0.104 | -5.55 | 0.000 |
주택 면적 | -0.102** | 0.048 | -2.10 | 0.036 | -0.184 | 0.122 | -1.51 | 0.130 |
거주 지역 | 0.377*** | 0.035 | 10.82 | 0.000 | - |
주택 만족도 | -0.213*** | 0.051 | -4.21 | 0.000 | - |
주거환경 만족도 | -0.147*** | 0.049 | -2.99 | 0.003 | - |
경제적특성 | 국민기초생활보장급여 수급가구 | -0.275*** | 0.085 | -3.25 | 0.001 | -0.319 | 0.311 | -1.02 | 0.306 |
주거비 부담정도 | -0.210*** | 0.038 | -5.52 | 0.000 | -0.251** | 0.101 | -2.49 | 0.013 |
주택 자산 | 0.003* | 0.002 | 1.70 | 0.089 | 0.012*** | 0.005 | 2.67 | 0.008 |
총 자산 | 0.003** | 0.001 | 2.53 | 0.011 | -0.002 | 0.004 | -0.51 | 0.607 |
상수 | -1.418*** | 0.077 | -18.44 | 0.000 | -2.411*** | 0.173 | -13.97 | 0.000 |
athRho | 1.911** | 0.875 | 2.18 | 0.029 | |
rho | 0.957** | 0.734 | | | |
주 : p<0.1,
p<0.05,
p<0.01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