표 7 노인가구의 주거이동 계획 지역에 대한 한계효과
변수 | dy/dx | Std. Err. | z | P>|z| |
인구사회학적 특성 | 가구주 연령 | |
중고령 노인 | -0.00118630 | 0.0005721 | -2.07 | 0.038 |
고령 노인 | -0.00164310 | 0.0005754 | -2.86 | 0.004 |
가구주 성별 | 0.00038160 | 0.0004580 | 0.83 | 0.405 |
가구주 학력 | 0.00004700 | 0.0004537 | 0.10 | 0.918 |
가구주 은퇴여부 | 0.00095890 | 0.0004293 | 2.23 | 0.026 |
가구원 수 | -0.00029940 | 0.0002095 | -1.43 | 0.153 |
주거환경 특성 | 주택 유형 | 0.00060440 | 0.0003637 | 1.66 | 0.097 |
주택 점유형태 | -0.00210930 | 0.0004467 | -4.72 | 0.000 |
주택 면적 | -0.00066910 | 0.0004474 | -1.50 | 0.135 |
경제적 특성 |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가구 | -0.00115910 | 0.0011463 | -1.01 | 0.312 |
주거비 부담정도 | -0.00091370 | 0.0003872 | -2.36 | 0.018 |
주택 자산 | 0.00004530 | 0.0000181 | 2.51 | 0.012 |
총 자산 | -0.00000774 | 0.0000151 | -0.51 | 0.6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