표 4 재건축 재개발 갈등요인 선행연구

연구자 주제 시사점 분석방법
신형달 외 (2012) 주택재개발사업 참여자 간의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계획단계에서 토지 등 소유자 동의서 청구지연(20.5%), 사업시행인가단계에서 조합 내부마찰(3.6%), 관리처분인가단계에서 조합 내부마찰(6.0%)이 사업 지연에 유의한 갈등 영향요인임 FGI+상관분석
김구회 외 (2015) 도시정비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갈등조정방안 연구 조합설립 신청 및 인가과정의 갈등은 사업기간(1.497), 사업비용(1.364)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 FGI+PLS 회귀분석
김지은·이재형 (2015) 재개발사업 지연요인 및 개선방안 건설사 임직원 대상 설문 조사에서 조합갈등이 사업 지연에 가장 큰 영향(5점 척도 기준 4.3)을 미치며, 사업이 지연될수록 조합원 부담금이 증가하고 개발이익이 감소함 FGI+기초통계량 분석
최형선 (2016) 서울시 주거지 재개발 재건축사업 지연에 미치는 주민역량 영향 재건축 재개발 사업 관련 소송 개수는 추진위(0.459) 및 사업 시행(0.418) 단계에서 사업 지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 FGI+PLS 회귀분석
김용만·정재호 (2016) 주택재개발사업의 갈등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재개발 사업의 갈등은 구역지정 ~ 조합설립 단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조합설립 과정의 찬반대립이 주요 원인임 FGI+AHP
김혜천·정경용 (2018) 주택재개발 사업 갈등유형과 사업 지연에 미치는 영향 재건축에서 발생하는 전체 갈등유형 중 조합원 갈등으로 인한 조합과 비대위의 주도권 관련 소송이 사업 지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침 FGI+다중회귀분석
주 : FGI, focus group interview; PLS, partial least squares; AHP, analytic hierarchy process.